(컴퓨터tip) 유용한 단축키 Best 10, 업무생산성을 높이자
아마 컴퓨터를 사용하시는 분은 대부분 아실 것이지만, 컴퓨터 초보에게는 매우 유용한 것이 단축키입니다.
단축키를 쓰면 좋은 이유
마우스를 활용하는 것보다 단축키를 활용하면 더욱 편하게 업무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을 절약해줍니다. 더구나 업무하면서 키보드를 치다가 손을 움직여 마우스로 옮겨가면 마음이 분산되는데, 단축키를 사용하면 정신을 더 집중해서 하던 일을 계속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단축키를 외우려면 힘이 들지요. 그래서 꼭 외울 필요가 있는 단축키를 10개 엄선했습니다.
단축키 Best 10
Ctrl + C or Ctrl + Insert
Ctrl + C와 Ctrl + Insert은 선택한 텍스트나 항목을 클립보드로 복사합니다. 만약 복사하는 대신에 잘라내려면 Ctrl + X을 치면 됩니다.
Ctrl + V or Shift + Insert
Ctrl + V와 Shift + Insert은 클립보드에 있는 텍스트나 항목을 커서가 있는 곳 뒤로 붙입니다.
Ctrl + Z and Ctrl + Y
변경사항을 취소합니다. 글자를 잘못 해서 지웠을 때 이 단축키를 누르면 원래대로 복구됩니다. 이 단축키를 여러 번 누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수차례의 변경사항이 차례로 복구됩니다. 그런데, 복구하려는 것보다 더 많이 원래대로 되돌려 버렸다면, Ctrl + Y를 누르세요. 그러면 변경사항을 취소했던 것이 다시 취소되어 마지막 변경사항은 그대로 남습니다. 대부분 Ctrl + Z만 알았지, Ctrl + Y 단축키는 아마 많이 쓰지 않으셨을 겁니다.
Ctrl + F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는 Ctrl + F를 누르면 찾기 기능이 실행되어 창이 떠오릅니다. 인터넷을 브라우징할 때 화면에 있는 텍스트 중에서 찾을 단어나 문장이 있다면 이 단축키를 누르세요. 그러면 찾기 창이 떠서 원하는 단어나 문장을 찾을 수 있습니다.
Alt + Tab or Ctrl + Tab
야한 영화를 보다가 사장님이 오시면 빠르게 다른 프로그램으로 전환해야 할 때가 있지요? 그럴 때에는 Alt + Tab을 누르면 된답니다. 인터넷 브라우징 프로그램에서 여러 개의 탭을 열어놨을 때 탭 사이를 오가려면 Ctrl + Tab을 누르시면 됩니다.
Alt + Tab을 누르고 일하는 척 하다가 사장님이 딴 데 가시고 원래대로 동영상 프로그램으로 돌아가려면 어떻게 할까요? 물론 프로그램이 2개만 실행되고 있다면 바로 Alt + Tab을 다시 누르면 됩니다. 하지만 여러 개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다면, Shift키를 추가해서 Alt + Shift + Tab를 누르면 됩니다. 인터넷 브라우저의 탭 사이를 오가는 경우에도 Shift키를 추가해서 Ctrl + Shift + Tab을 누르면 됩니다.
Ctrl + Back space and Ctrl + Left or Right arrow
Ctrl + Backspace()는 한 단어씩 지우고, Ctrl + 왼쪽 또는 오른쪽 화살표는 커서를 한 단어씩 움직입니다. 한 단어씩 선택할 경우에는 Ctrl +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화살표를 좌우로 움직이면 되고, 한 글자씩 선택할 경우에는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화살표를 움직이면 됩니다.
Ctrl + S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Ctrl + S를 누르면 화일을 저장합니다.
Ctrl + Home or Ctrl + End
Ctrl + Home은 커서를 문서의 처음으로, Ctrl + End는 커서를 문서의 끝으로 움직입니다.
Ctrl + P
이 단축키는 보이는 화면이나 화일을 프린트합니다.
Page Up, Space bar, and Page Down
Page Up과 Page Down은 한 화면만큼 위나 아래로 움직이게 합니다. 인터넷 브라우징을 할 때에는 스페이스 바를 누르면 한번에 한 페이지씩 뒤로 내려갑니다. 만약 Shift키를 누른 채로 스페이스 바를 누르면 한 페이지씩 위로 올라갑니다.
유용한 팁이 되었나요? 우리 모두 이 단축키들을 철저히 마스터해서 편하게 삽시다.
'IT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인의 정보 평등, 아우터넷(Outernet)을 응원한다. (0) | 2014.11.05 |
---|---|
(블로그) 운영 목적에 맞는 글을 쓰자 (2) | 2014.10.30 |
[블로그]트위터, 페이스북과 비교한 블로그의 특성 (0) | 2014.10.21 |
[블로그] 필요한 핵심도구: 유입경로, 실시간 검색어, 애널리틱, 애드센스 (0) | 2014.10.21 |
프로그래밍 공부에 도움되는 게임, 블록리 (0) | 2014.10.16 |